반응형 미술, 디자인18 시대별 미술역사의 주요 사건, 고대 중세 르네상스 바로크를 거쳐 근대에서 현대미술까지 선서시대의 동굴 벽화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NFT D 아트까지, 현재에도 그 흔적을 발견할 수 있는 미술의 역사를 시대별로 정리하고 각 시대의 주요 의미와 특징, 작품과 작가들을 살펴본다. 시대별 미술역사의 주요 사건, 고대 중세 르네상스 바로크를 거쳐 근대에서 현대미술까지 1. 고대 미술 (~기원전 5세기)라스코 동굴벽화 (기원전 약 17,000년경)라스코 동굴벽화는 프랑스 남서부에서 발견된 선사시대 예술의 걸작으로, 1940년에 우연히 발견된 이 벽화는 사슴, 말, 소, 들소 등 다양한 동물을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다.이러한 동물 그림은 단순한 장식이 아니라, 당시 인류의 사냥, 신앙, 주술과 관련된 의미를 가지고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 고대 인류는 자연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살아갔고, 벽화를.. 2025. 2. 13. 르네상스 운동의 개요와 배경 및 주요작가, 신고전주의와 네오르네상스 등 시대적 반영 인간성 말살의 야만의 시대를 극복하려 한 인문주의 운동, 르네상스는 예술 건축 철학 문학 등 디양한 분야에 걸쳐 빛나는 문화 부흥을 이루었다.르네상스 운동의 개요와 시대적 사회적 배경과 주요 작가, 운동의 흐름을 살펴본다. 르네상스 운동의 개요와 배경 및 주요 작가, 신고전주의와 네오르네상스 등 시대적 반영 르네상스의 개요르네상스의 사전적 의미영어 사전renaissance1. 명사: (14~16세기 유럽의) 문예 부흥기2. 명사: (특정 주제·예술 양식 등에 대한 관심의) 부흥, 부활(=revival) 독일어 사전 Re·nais·sance 1. 문예 부흥(기), 르네상스 ((14-16세기에 유럽에서 일어난 그리스·로마의 고전 문예 부흥))2. 르네상스식 미술(건축) 양식3. 문예 부흥 의, 르네상스 의 .. 2025. 1. 11. 전통 예술과 사회에 대한 부정과 파괴를 넘어서 무의식으로, 다다이즘과 초현실주의의 관계와 발전 다다이즘과 초현실주의는 20세기 초 유럽에서 발생한 예술 운동으로, 기존의 전통적 가치와 논리에 대한 저항이라는 공통된 배경을 가지고 있다. 초현실주의의 전신인 다다이즘, 이 두 예술 운동의 본질과 접근 방식에 대해 살펴본다. 전통 예술과 사회에 대한 부정과 파괴를 넘어서 무의식으로, 다다이즘과 초현실주의의 관계와 발전 다다이즘(Dadaism)의 개요와 주요 작가다다이즘의 개요1916년, 1차 세계 대전 중 스위스 취리히의 '볼테르 카바레'라는 카페 모임을 중심으로 한 반 문명, 반 합리주의 예술 운동이 시작이었다. 전쟁의 살육과 파괴, 서구 문명의 몰락 등 기존 질서에 대한 증오와 냉소를 기본 정신으로 하여, 모든 문화적 가치, 전통적 가치, 이성에 대한 신뢰를 부정하며 예술 형식의 파괴와 부정을 주장.. 2025. 1. 6. 피카소 아비뇽의 아가씨들과 아프리카 예술, 입체파와 서구 미술에 대한 아프리카 미술의 영향 아프리카 예술에서 영향을 받은 파블로 피카소의 예술적 영감은 20세기 미술사에 혁신적인 영향을 미쳤다.이러한 영향은 큐비즘(입체주의)의 시작을 알린 혁명적인 그림인 '아비뇽의 아가씨들(Les Demoiselles d'Avignon, 1907)의 창작에서 시작되었다. 피카소 아비뇽의 아가씨들과 아프리카 예술, 입체파와 서구 미술에 대한 아프리카 미술의 영향 아프리카 미술과 피카소의 만남1907년에 피카소는 파리의 트로카데로 민족학 박물관(현재 Musée du quai Branly의 일부)을 방문했다. 당시 유럽 박물관에서는 아프리카 유물을 예술품이 아닌 민족지학적 호기심으로 전시했다.피카소는 그곳에서 아프리카의 가면과 조각품을 접했고 추상적인 형태, 대담한 기하학, 영적인 존재감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피.. 2024. 12. 26. 그리스 로마 신화 속 전설과 상상의 동물 2편, 사이렌·우로보로스·미노타우로스·히포캄푸스 등 우주의 보편적인 주제들이 신과 인간의 모습 속에서 적나라하게 펼쳐지는 그리스 로마 신화 속 동물들의 모습과 이야기들을 1편에 이어 2편에서 살펴본다.© Marie-Lan Nguyen / Wikimedia Commons 그리스 로마 신화 속 전설과 상상의 동물 2편, 사이렌·우로보로스·미노타우로스·히포캄푸스 등크레타의 황소 미노타우로스 (Minotauros)크레타의 왕 미노스가 포세이돈에게 바칠 훌륭한 소가 없다고 하자 포세이돈은 파도로 하얀 황소를 만들어 줬다. 그러나 미노스의 아내 파시파에가 이 소를 맘에 들어하자 미노스는 제물로 다른 소를 바쳤다.이 사실을 안 포세이돈이 분노하여 황소가 미쳐 날뛰도록 하였고 또 파시파에가 황소와 사랑에 빠지도록 주문을 내렸다. '크레타의 황소를 생포하라'는 헤라클레스.. 2024. 6. 6. 그리스 로마 신화 속 전설과 상상의 동물 1편, 페가수스·그리핀· 케르베로스· 키메라 등 인간의 보편적인 주제들- 사랑, 죽음, 배신, 복수, 영웅, 파괴 등-이 적나라하게 펼쳐지는 그리스 로마 신화는 프로이트와 융의 표현대로 인간들의 심리적 원형이며 무의식의 표현으로 가득하다.신화 속에 등장하는 여러 동물들도 당대와 그 이전부터 현존했던 동물들이 모티브가 된 것에서 완전한 상상의 모습까지 다양하다. 신화 속에 등장하는 동물들의 이야기와 세월을 걸쳐 기록되어 온 이미지를 살펴본다. 그리스 로마 신화 속 전설과 상상의 동물 1편, 페가수스·그리핀· 케르베로스· 키메라 등 페가수스 (Pegasus)페가수스는 페르세우스에게 목이 잘린 메두사의 피에서 태어난 날개 달린 백마의 형상을 한 동물로 천마로 불리기도 한다. 그리스 영웅 벨레로폰이 아테나가 준 황금 고삐로 페가수스를 길들였고, 벨레로폰은 페.. 2024. 5. 26. 그리스 로마 신화의 올림푸스 12신, 제우스 헤라 포세이돈 아테나 아프로디테 등 그리스와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올림푸스(올림포스)의 12 신은, 대지의 여신 가이아와 하늘의 신 우라노스가 낳은 1세대 신들인 티탄족과 10년의 전쟁에서 승리한 그리스 신화의 주요 신들이다. 12 신들의 간략한 소개와 상징을 통한 상상의 그림, 전해져 오는 문화유산 속 신화의 이야기를 알아본다. 그리스 로마 신화의 올림푸스 12신, 도데카테온 그리스 신화, 올림푸스 12 신 Twelve Olympians, 도데카테온(Dodecatheon) 올림푸스산 정상에 거주하는 12명의 신들을 지칭한다. 그리스의 모든 신들이 모셔져 있는 판테온(만신전)의 주요 신들이다. 12 신을 도데카(12) 테온이라고 한다. 신화 속의 신들은 두 번 태어나기도 하고 사물에서 탄생하기도 하며, 근친 간의 결혼과 불륜도 많아서 혈통.. 2023. 12. 22. 전설과 신화 속 동물, 재칼로프, 크라켄, 유니콘, 케르베로스 등 상상의 동물들 고대의 신화 속 이야기부터 입으로 전해져 내려오는 전설까지, 믿기 어려우면서도 또 한번 보고싶은 상상의 동물들이 많이있다. 전설과 신화 속 상상의 동물들 추정 모습과 관련 이야기들을 간략히 살펴본다. 전설과 신화 속 동물, 상상의 동물들 재칼로프(Jackalope), 뿔 토끼 토끼(Jack Rabbit)와 영양(antelope)의 합성어로, 뿔이 달린 토끼의 모습으로 북미 대륙에서 전해지는 상상의 동물이다. 독일의 민속에 등장하는 볼퍼팅거와 비슷하다. 13세기 페르시아 작품에도 유니콘처럼 하나의 뿔이 달린 토끼가 등장했고, 중세와 르네상스 민속에도 뿔이 달린 토끼의 그림들이 나타난다. 학자들은 유두종 바이러스에 감염된 토끼의 머리에 난 종양을 뿔로 상상화하여 등장한 전설로 여기기도 한다. 1930년대 사.. 2023. 12. 11. 폭력과 외설이 난무했던 민담들과 샤를 페로, 그림 형제, 안데르센의 동화 작품들 오늘날까지 많은 인기를 얻으며 읽히고 있는 유명 동화들은 당시에 전해져 내려오는 민담, 민화, 구전 설화들을 모아 새롭게 각색한 이야기들이 대부분입니다. 동화의 기초를 다진 샤를 페로부터 그림 형제, 안데르센의 이야기들과 작품들에 대해 알아봅니다. 폭력과 외설이 난무했던 민담들과 샤를 페로, 그림 형제, 안데르센의 동화 작품들 샤를 페로 샤를 페로(Charles Perrault, 1628~1703) 동화라는 문학 장르의 기초를 다진 프랑스 작가. 페로는 법률을 공부하여 23세에 변호사가 되었고 세금 징수관리로 일하기도 하였다. 설계에 관신을 가져 베르사이유 궁전의 설계에 종사하기도 했다. 17세기말에서 18세기 초 프랑스에서 벌어졌던 '신구문학논쟁'의 시작이 샤를 페로였다. 페로는 당시까지 절대적인 권위.. 2023. 11. 10. 이전 1 2 다음 반응형